“Medicine for Healthy Life span”
-
조경아 대표, 서울시니어스포럼서 좌장 참석 및 노인성 질환 치료 전략 발표
메디스팬 조경아 대표는 2025년 6월 19일(목)부터 21일(토)까지 전북 고창에서 열린 **서울시니어스포럼(SSF, Seoul Seniors Forum)**에 ‘면역 및 뇌 노화’ 세션의 좌장 및 발표자로 참석했다. ‘노후의 삶과 비전(Life and Vision in Later Life)’을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의료·복지·정책 분야의 통합적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로, 국내외 노년학 및 의생명과학 분야의 석학들이 대거 참여하였다. 이번 포럼에는 - 브라이언 케네디 교수(싱가포르국립대) - 서유신 교수(미국 컬럼비아대학) - 발리 플렌드란 교수(스탠퍼드대학)등 노화 분야의 세계적 석학들이 참여해, 대사, 뇌, 면역 등 각 분야에서의 최신 노화 연구 동향과 전략적 접근법을 소개하였다. 조경아 대표는 6월 21일(토) ‘면역 및 뇌 노화’ 세션에서 면역노화가 감염 질환과 만성 염증에 미치는 영향, CAR-T 및 재생의학 기술의 고령 적용 가능성, 조직 복원력 및 면역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노화 조절 전략 등을 발표하며, 질병 치료를 넘어, 면역 균형 회복을 기반으로 한 근본적인 노화 제어 기술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특히, 스탠포드대 발리 플렌드란 교수는 메디스팬과의 공동 연구 협력을 소개하며, 염증 유발 없이 안전하게 면역력을 활성화하는 차세대 면역증강제(면역보강 기술)의 개발 필요성과 가능성을 강조하였다. 해당 협력은 노화에 따른 면역력 저하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고, 고령층 백신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점막면역 기반 면역자극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2025-07-10
-
[KBS1 이슈 픽 쌤과함께] 노화 예방의 시대(21세기 불로초는 무엇인가) 조경아 대표 출연 '노화의 원인 노화세포 및 항노화 기술 ' 소개
방영일시: 2025.05.18방송보기 링크 : 노화 예방의 시대(21세기 불로초는 무엇인가) | KBS1(이슈 픽 쌤과 함께)2025-07-04
-
메디스팬 조경아 대표, 바이오 코리아 2025 국제 컨벤션 좌장 및 노화 제어기술 발표
메디스팬 조경아 대표가 2025년 5월 7일(수)부터 9일(금)까지 개최된 국내 최대 바이오헬스 국제행사인 BIO KOREA 2025 International Convention에 ‘노화 제어기술’ 세션의 좌장 및 발표자로 참여하였다. BIO KOREA 2025는 세계 각국의 투자자, 바이오 기업, 연구자들이 참여해 최신 바이오헬스 이슈와 사업화 기회를 공유하는 글로벌 행사로, 올해는 특히 ‘AI와 노화기술’이 미래의학을 주도할 핵심 분야’로 집중 조명되었다. 조경아 대표는 9일(금) 진행된 ‘노화 제어기술’ 세션에서 좌장을 맡아, - 면역 기반 노화 조절 기술 - AI 기반 노화 진단 및 바이오마커 분석 - 노화 치료제 개발을 위한 신모델 플랫폼등을 소개하며, AI를 활용한 정밀 노화 분석과 면역 조절을 통한 기능 회복이 향후 노인성 질환과 건강수명 연장의 핵심 전략이 될 것임을 강조하였다. 또한 염증 유발 없이 점막 및 전신 면역을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대사기능 개선과 조직 복원력을 유도하는 혁신적 면역자극 기술을 소개하며, “노화를 조절 가능한 생물학적 현상으로 바꾸는 미래의학 기술”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2025-07-10
-
[KBS1 다큐 인사이트] 노화의 속도 1부(내 몸안의 노화 시계) 조경아 대표 출연 '노화와 면역력 연관성 연구' 소개
방영일시: 2025.04.17방송보기 링크 : 노화의 속도 1부(내 몸안의 노화 시계) | KBS1(다큐 인사이트)2025-07-04
-
전남대 조경아 교수 연구팀, 노화 대사질환 개선 효과 규명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조경아 교수 연구팀이 TLR5(Toll-like Receptor 5)의 간 기능 조절 역할을 규명한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Aging Cell’ (Impact Factor 8.0, 노화 분야(Q1) 상위 10% 이내 저널)에 지난 2월 17일 온라인 게재했다고 밝혔다. 조경아 교수 연구팀은 앞서 TLR5 활성화가 뇌 대사 기능 향상, 만성 염증 억제, 수명 연장 및 전반적인 건강 개선에 기여함을 입증한 바 있다 (Nature Communications, 2024). 이번 연구에서는 TLR5의 간 대사 조절 기능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활용한 대사질환 및 간 섬유화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 TLR5는 세균 편모의 단백질인 플라젤린(flagellin)을 인식하는 선천면역 수용체로, 면역 반응뿐만 아니라 대사 및 조직 재생을 조절하는 다각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TLR5 결핍 마우스(TLR5 KO) 모델을 이용해 연령에 따른 변화를 분석한 결과, 체중 증가, 지방간 악화, 대사 이상이 가속화됨을 확인했다. 유전자 분석 결과, TLR5가 지방의 흡수·분해·생합성·저장, 일주기 리듬, 세포 노화 관련 유전자 조절에 관여함을 밝혀냈다. 특히, 기존에 알려진 TLR5 KO 모델의 gut-liver axis에 따른 대사 이상이 아닌, 간 대사 기능을 직접 조절하는 기전을 규명함으로써 새로운 대사 조절 기전을 증명했다. 또한, TLR5 KO 모델에서 장염증과 간 섬유화를 각각 유도했을 때, 오직 간 섬유화만 악화됨을 확인하며, TLR5가 간 대사 조절에 직접 관여함을 밝혀냈다. 아울러, 연구팀은 대사질환 및 간 섬유화 동물 모델에서 개량된 플라젤린(flagellin) 기반 치료제를 활용해 대사 기능 개선 및 간 섬유화 치료 효과를 입증했다. 이번 연구는 메디스팬(MediSpan)과의 공동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연구에서 활용된 기술은 메디스팬에 기술이전된 물질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메디스팬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메디스팬이 보유한 핵심 기술의 가능성을 다시 한번 입증한 중요한 성과로, TLR5를 활용한 대사질환 치료제 개발을 더욱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경아 교수는 “TLR5는 간 기능과 대사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대사질환 치료의 중요한 표적이 될 수 있다”며, “면역 기능을 깊이 이해하고 이를 강화한다면 건강한 노화와 장수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 의의를 전했다. *논문 원제: The Impact of Toll-Like Receptor 5 on Liver Function in Age-Related Metabolic Disorders.*논문링크: http://doi.org/10.1111/acel.700092025-02-25
-
[더바이오] 조경아 메디스팬 대표 "미국 NIAID와 면역 증강제 공동 개발"
- [인터뷰] 메디스팬, 美 NIAID 면역증강제 DB에 'MSP-102' 정식 등록- "면역원성 최소화한 개량 플라젤린…NIAID 면역증강제 효능평가 프로그램 참여"- "프로그램 평가기관인 듀크대, 스탠포드대, 캘리포니아대와 물질이전 계약 완료"- 두 번째 파이프라인 'MSP-306', 방사선 피폭 치료제 후보물질…"원자력의학원 공동개발 준비"- "정부, 글로벌 경쟁력 확보 위한 노화 관련 다양한 지원 사업 준비"국내 항노화 바이오기업 메디스팬(Medispan)이 자사가 개발 중인 면역원성을 최소화한 개량 플라젤린(flagellin) 'MSP-102'를 최근 미국 국립 알레르기 전염병 연구소(NIAID)의 '면역증강제 데이터베이스(Compendium)'에 등록했다. 플라젤린은 강력한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세균 유래 물질이다. 이번 등록으로 MSP-102는 NIAID가 주관하는 대규모 백신, 항암제, 알레르기 치료제 등에 함께 쓰이는 면역증강제 효능평가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됐다. NIAID는 대규모 정부 지원으로 차세대 백신 보조제를 개발 중이다. 유일하게 메디스팬이 해외 기업으로서 참여하고 있다. 메디스팬은 면역노화를 개선해 노화를 제어하는 기술로 건강수명 연장 뿐 아니라, 여러 면역조절 기반 질환의 치료제도 개발하고 있다. 이에 '항노화' 연구개발 기업으로 불리고 있다. 29일 조경아 메드스팬 대표이사(전남대 의대 의학과 생화학교실 교수)는 <더바이오>와 경기도 판교에 위치한 메스스팬 본사에서 인터뷰를 통해 "아직 노화를 타깃하는 약물 임상 승인이 쉽지 않아 면역증강제로 임상1상 안전성을 확보하고, 질환쪽으로 적증증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며 "이 과정에서 항노화 효능을 함께 입증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메디스팬이 개발 중인 주요 파이프라인에는 톨라이크리셉터5(TLR5)의 리간드인 플라젤린을 최적화한 물질이 있다. 적응증에 따라 두 가지 세부 파이프라인으로 나뉜다. 조 대표는 "올해 초 TLR5가 노화 조절 약물의 타깃으로서 새로운 모델임을 증명하는 논문을 미국 실리콘밸리 벤처 알토스랩의 마누엘 세라노 박사Manuel Serrano)와 함께 학술지 네이터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보고했다"고 말했다. 세라노 박사는 당초 조 대표에게 공동법인 설립을 제안했던 노화 연구 관련 전문가다. 현재는 연구를 함께 진행 중이다. 특히 TLR5는 다른 염증 매개 TLR 가족군(family)과 달리 선천성 면역을 유도하지만, 다양한 면역세포 활성을 유도하며 손상된 조직재생 사이토카인 분비를 유도하거나 대사조절 효과로도 관심을 받고 있다는 게 조 대표의 설명이다. 이에 TLR5의 리간드인 플라젠린은 글로벌 시장에서 면역증강 효과를 기반으로 백신 보조제와 방사선 피폭 치료제, 항암제 등으로 개발되고 있다. 조 대표는 "다만 높은 면역원성과 빠른 체내 반감기가 이들 약물들의 한계로 보고된다"면서 "MSP-102는 면역원성을 최소화한 개량 플라젤린으로, 앞서 개발되던 약물 대비 낮은 면역원성, 높은 물질 안전성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NIAID는 세계보건기구(WHO),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빌게이츠 재단과 미국내 백신 개발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세미나에 해외 기업으로 처음으로 메디스팬을 초청해 소개하는 등 적극적인 후원기관으로 지원하고 있다. 메디스팬은 현재 NIAID가 주관하는 면역증강제 효능 평가 프로그램의 평가기관인 듀크대, 스탠포드대, 캘리포니아대와 물질이전 계약(Material Transfer Agreement, MTA)을 완료했다. 아울러 대규모 평가를 위해 약물 전달이 이뤄졌다. 조 대표는 "MSP-102에 대해 미국 파트너들과 공동 개발, NIAID의 임상 지원프로그램 등을 통해 글로벌 시장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조 대표는 "NIAID 제안으로 MSP-102의 차세대 노화 및 감염 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비강 면역증강제로서, 개발 및 기전 규명을 이 분야 석학인 발리 플렌드란(Bali Pulendran) 스탠포드대 교수와 함께 진행하고 있다"며 "이를 기반으로 NIAID가 주관하는 전임상, 임상 프로세스 지원 프로그램을 논의 중"이라고 설명했다.메디스팬이 내세우는 두번째 파이프라인인 'MSP-306'은 기존 플라젤린의 주요 적응증인 '방사선 피폭' 치료제 후보물질이다. 현재 원자력의학원과 공동 개발을 준비 중이다. 또한 MSP-306을 간섬유화(MESH) 치료제로도 개발 중이다. 조 대표는 "기존 플라젤린 대비 체내 장기지속력이 10배 이상 향상됐고, 낮은 유효 농도에서 효능을 나타내기 때문에 매우 안전하다는 점을 확인했다"거 밝혔다. 조 대표는 "이외에도 MSP-102의 노인성 및 남성형 탈모 치료 효과를 확인하고, 현재 라파스와 함께 마이크로니들 패치로 개발하기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 중"이라며 "다른 파이프라인보다 빠르게 임상평가 및 시장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2020년 설립된 메디스팬은 '건강 수명을 늘리기 위한 의료(medicine for extending of healthy lifespan)'의 영어 약자 'Medi+Span' 합성어다. 지금까지 씨드머니와 프리 시리즈A로 DSC인베스트먼트슈미트, 스타셋인베스트먼트, 티그리스인베스트먼트 등으로부터 총 85억원을 투자받았다. 현재 해외 글로벌 노화 전문 투자사로부터 투자 제안을 받고 미팅을 진행 중이며, 국내 투자자들과도 관련 미팅을 하고 있다. 조 대표는 "최근 정부에서도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노화 관련 다양한 지원사업을 준비하고 있다"면서 "국내에서도 이 분야가 곧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기사전문링크 : 조경아 메디스팬 대표 "미국 NIAID와 면역 증강제 공동 개발"| 더바이오(https://www.thebionews.net)2024-08-01
-
[바이오타임즈] 메디스팬, "노화 및 관련 질환 치료하는 기술로 글로벌에서도 관심"
| 노인성 질환 치료할 수 있는 혁신 신약 개발 진행| 미국 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의 면역보조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고령사회의 건강 수명 연장 목표∙∙∙글로벌 사업 진출 모색◇ 2020년 설립∙∙∙국내∙외로부터 기술 주목받아조경아 대표는 노화생물학을 전공으로 박사 학위 과정 중, 기초 기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조 대표는 전남대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교수로 재직하면서 해당 연구를 노인의 감염 민감성에 관한 연구로 확대했다. 이 과정에서 노화에 따른 면역기능 변화가 노쇠뿐만 아니라 관련 질환 발병에도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이에 이를 조절할 수 있는 타깃과 약물 개발을 진행하게 됐다.조 대표는 “해외 학회에서 연구 결과를 소개한 일이 계기가 돼 해외 바이오 회사로의 기술이전 제안을 받게 됐지만, 안타깝게도 그 당시에는 이전할 정도의 물질도 아닐뿐더러 보유한 특허도 없어 무산됐다”며 “이후 해외에서의 관심과 타깃의 효능에 확신을 갖고 이를 약물로 개발하기 위한 도전을 시작했다”고 전했다.이어 “기술 조사를 통해 가장 우위한 물질을 도출하고 특허를 확보하면서 창업 준비를 위한 다양한 컨설팅을 진행했다”며 “그러던 중 국내 투자 유치 제안을 받아 2020년 메디스팬을 설립했다”고 말했다.당시 미국 실리콘밸리 벤처기업 ‘알토스랩’의 노화 연구 및 개발 전문가인 마누엘 세라노(Manuel Serrano) 박사가 조 대표에게 공동 법인 설립 제안을 했다. 마누엘 세라노 박사는 그 이후로도 조 대표와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 최근에는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 공동 교신 저자로 함께 참여하는 등 여러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염증 대사 기전 연구 석학인 UC샌디에이고(UCSD) 에마이클 카린(Michael Karin) 교수도 메디스팬 설립 전부터 메디스팬의 면역대사 조절 기전 연구에 관심을 갖고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메디스팬은 현재 판교에 본사와 연구소를 두고 약물 개발, 생산 등의 업무를 진행 중이다. 대학에 소재하는 기업부설연구소에서는 주로 비임상 효능 및 기전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종근당 등 여러 제약회사에서 약물 개발 전문 경력을 쌓은 김다연 이사가 신약 개발을 맡고 있다. 이외에도 20년 연구 경력을 가진 김동현 박사와 각 분야 팀장들이 약물 개발, 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다.◇ 면역 조절 기반 노화와 질환 치료하는 기술 개발메디스팬은 다양한 면역유도체를 개발하고 있다. 노화 면역 활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신규 후보물질 발굴을 통해 노화를 억제하고, 노인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혁신 신약 개발을 진행 중이다.가장 먼저 개발한 약물은 톨유사수용체5(TLR5)를 자극하는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플라젤린 개량체 ‘MSP-102’다. 메디스팬은 TLR5의 노화 역전, 면역 활성, 대사 조절 등의 효능을 증명했다. 메디스팬은 인간 나이 60세 이상의 노령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TLR5를 자극하는 플라젤린의 면역 자극이 수명 연장과 다양한 노화 관련 질병 치료에 효과적임을 확인했다. TLR5는 면역 활성화 물질로 세균 편모의 단위 단백질인 플라젤린에 의해 활성화한다.MSP-102는 가장 우위한 물질로 인정받아 미국 국립보건연구원(NIH) 산하 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NIAID)의 면역보조제 데이터베이스(Compendium)에 정식 등록됐다. NIAID가 주관해 개발하는 차세대 면역증강제 개발 프로젝트에 함께 참여하고 있으며, 감염병 백신, 항생제, 알레르기 치료제의 면역증강제로서 개발을 진행 중이다. 이외에도 메디스팬은 ‘MSP-306’의 대사질환 치료 효과를 기반으로 비GLP-1 계열의 새로운 모델로 비만, 간 섬유화를 타깃으로 하는 약물을 개발하고 있다.조 대표는 “메디스팬이 개발하는 약물은 최근 급속도로 확장되고 있는 고령사회를 대비하는 시장을 타깃으로 삼고 있어 큰 관심을 받고 있다”며 “메디스팬의 주요 기술은 해외에서 이미 개발하고 있는 유사 기술이 아닌 독자적 기술로 혁신 신약으로서 가능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전했다.그러면서 “약물의 우위성을 확보해 글로벌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며 “해외 정부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물질의 중요성과 우위성을 입증했고, 대규모 다각적 개발 프로그램에 초대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메디스팬은 팁스(TIPS), 국가 연구 개발 사업, 글로벌 백신 사업 등 다양한 지원 사업을 수주했으며, 아기 유니콘 기업으로 선정됐다. 또 78억 원 규모의 프리 시리즈 A 투자 유치 성과를 달성했다. 투자 유치 후 파이프라인 확장 및 빠른 임상 진입을 통한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현재는 후속 개발을 위한 투자 유치를 준비 중이다. 조 대표는 “최종 목표는 면역 조절 기반 노화와 질환을 치료하는 기술로 고령사회의 건강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라며 “국내∙외 노화 전문 글로벌 투자자들과 미팅을 진행하며 글로벌 사업 진출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기사전문링크 : [인터뷰] 메디스팬, "노화 및 관련 질환 치료하는 기술로 글로벌에서도 관심" | 바이오타임즈(http://www.biotimes.co.kr)2024-08-01
-
메디스팬 조경아대표, 미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초청 강연
메디스팬 조경아 대표이사는 11월 2일 미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주관으로 열린 Adjuvant Webinar Series에서 “Adjuvanticity of a novel TLR5 agonist”라는 주제로 메디스팬의 기술과 백신 면역증강제로 개발중인 MSP-102에 대한 소개를 진행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NIAID 외에도 미국국립보건원(NIH), 미국식품의약청(FDA), 빌게이츠 재단(Bill and Melinda Gates Foundation) 및 다양한 학계, 산업계 연구자들이 참석해 조경아 대표의 발표에 많은 관심을 표명했다. Adjuvant Webinar Series는 면역증강제 분야의 최근 개발 동향과 그룹내 연구자들 간의 협업을 장려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주로 미국내 대학과 기업 등에게 그들이 연구 또는 개발중인 면역증강제 기술에 대해 소개해왔다. 미국내 기업이 아닌 해외 기업인 메디스팬의 기술을 소개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케이스로, 이는 TLR5 기반의 면역증강제 개발에 대한 NIAID의 높은 관심의 표현으로 해석된다. NIAID는 새로운 면역증강제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2020년 Vaccine Adjuvant Compendium (VAC)을 설립하고, 다양한 백신에 적용될 수 있는 면역증강제를 개발할 수 있도록 백신 개발자들을 독려해왔다. 2023년 현재 VAC에는 NIAID의 지원으로 87건의 면역증강제 후보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 중 절반 이상인 49건이 TLR 관련 연구일 정도로 TLRs은 매우 효과적인 면역증강제 후보로 각광받고 있다. 여러 임상을 통해 TLR5는 면역증강제로서 뛰어난 효과를 보여왔으나, 물질 독성 등의 문제로 인해 대부분의 개발이 중단되어, 현재 VAC에 등록된 TLR5 관련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메디스팬이 개발중인 MSP-102는 D2-D3 도메인을 포함하지 않은 플라젤린을 TLR5의 리간드로 사용하여, 선행 연구개발 기업들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면역원성 및 독성 문제를 해결했으며, 이를 통해 NIAID로부터 큰 주목을 받아 금번 세미나를 진행하게 되었다. 또한 12월에는 NIAID 주관하에 공동 연구가 가능한 기관인 Duke University, Stanford University,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등과 구체적인 협의를 통해 VAC 등록을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메디스팬의 MSP-102가 VAC에 등록된다면, 이는 미국 NIAID의 VAC에 등록된 TLR5 기반 최초의 면역증강제 후보물질이 될 것이며, 한국 기업 최초의 등록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메디스팬은 이번 세미나를 계기로 전염병대비혁신연합(CEPI), 빌게이츠 재단과의 협력도 모색중이다.2024-04-02
-
Ulysseus Research Summit: Towards innovations in ageing and well-being 초청 발표
(주)메디스팬 조경아 대표이사는2023년 10월 18~19일 프랑스 니스에서 열리는Ulysseus Research Summit의 기조연설자(Keynote Speaker)로 초청받았습니다.Ulysseus Research Summit은 University Côte d’Azur in conjunction와 Ulysseus European University이 공동으로 개최하는 국제학회로2023년에는 Towards innovations in ageing and well-being 라는 주제로 진행됩니다.조경아 대표는 이번 학회에서개량된 플라젤린(MSP-102)의 노화 지연과 건강한 노화 향상(Modified version of flagellin to delay ageing and improve healthy ageing)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할 예정입니다.자세한 내용은 학회 홈페이지(http://bit.ly/UlyAwb)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2024-04-02
-
[한경 BIO Insight] 메디스팬 “면역체계에서 회춘 비법 찾아”
메디스팬은 노화역전의 비법을 우리 몸의 면역체계에서 찾고 있다. 면역체계가 노화되면서 전신에 노화가 진행되며, 면역체계를 다시 ‘회춘’시켜 신체의 노화도 더뎌지거나 역전되는 것을 동물실험에서 일부 확인했다. 메디스팬은 노년층에서 백신의 효능을 끌어올릴 수 있는 면역증강제로 우선 개념증명(PoC)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조경아 메디스팬 대표가 7일 서울 역삼동 스타셋인베스트먼트 사무실에서 한국경제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 20231107 임대철 기자“메디스팬이 국내 기업으론 처음으로 미국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NIAID)가 구축한 백신 면역증강제(adjuvant) 라이브러리에 참여하는 기업이 될 전망이다.” 조경아 메디스팬 대표는 자사의 면역증강제 후보물질 ‘MSP-102’가 NIAID의 백신 면역증강제 라이브러리인 ‘컴펜디움’에 등록이 유력하다고 밝혔다.NIAID는 면역에 관여하는 우리 몸속 여러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는 리간드를 라이브러리로 구축하고 있다. 조 대표는 “톨 유사 수용체5(TLR5)에 결합하는 리간드가 공석이었는데 메디스팬의 면역증강제 후보물질 ‘MSP-102’로 자리를 채워달라는 NIAID의 ‘러브콜’을 받았다”고 했다. 면역력 높였더니 수명 10% 늘어메디스팬은 우리 몸의 면역계를 노화역전을 위한 ‘열쇠’로 본다. 면역체계가 노화되면서 장기에서 만성염증이 발생하고 기능이 저하되며, 그 결과 노화가 진행된다는 시각이다. 또 나이가 들수록 선천면역은 약해지고 한번 침입했던 감염원에 대응하기 위한 후천면역 기능이 상대적으로 강화된다.조 대표는 “노화역전에 도달하는 길 중 하나가 선천면역을 강화하는 것이라 보고 선천면역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TLR5 작용제로 개발 중인 후보물질이 MSP-102”라고 설명했다.TLR5 수용체는 병원체를 인식해 선천면역을 활성화하는 수용체다. 세균 편모의 주요 구성요소이자 독성인자인 ‘플라젤린’이 여기에 결합하는 리간드다. 플라젤린이 여기 결합해 TLR5가 활성화되면 다양한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NF-κB가 분비되고이어 TNF-α를 비롯해 인터루킨 등 각종 사이토카인이 증가한다.조 대표는 “새로운 감염병이 유행하면 젊은 사람 대비 노인의 사망률이 높은데 이는 노화로 흉선이 퇴행해 이미 만들어진 기억T세포만 많고, 새로운 감염원에 대응하기 위한 나이브(naïve) T세포가 적기 때문”이라며 “나이브 T세포를 늘릴 방법을 찾다 TLR5 수용체와 리간드 플라젤린을 주목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플라젤린으로 TLR5를 활성화시키면 나이브 T세포 수도 늘고, 감염원에 대한 면역체계의 반응도 빨라졌다”며 “면역체계가 젊은 사람과 유사한 수준으로 ‘회춘’했다”고 덧붙였다.TLR5를 자극하는 방법으로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회춘의 흔적’도 찾았다고 했다. TLR5 수용체를 자극하는 플라젤린을 면역증강제로 활용해 계속 면역을 강화(부스팅)했더니, 나이가 들어도 흰털이나 회색털이 나오지 않고 까만 털이 계속 유지됐다.조 대표는 “사람으로 치면 50~60대에 해당하는 21주령 쥐를 사용한 시험이었다”며 “50~60대가 돼도 흰머리가 나지 않고 검은 머리가 유지된 것으로 비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골수유래줄기세포의 기능 회복뿐 아니라 인지기능도 개선돼 건강수명 연장효과가 확인됐다”며 “대조군 대비 실험군의 수명이 10% 정도 늘었다”고 말했다.이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될 예정이다. 그는 “공동 교신저자로 참여한 알토스랩의 마누엘 세라노 박사와 새로운 항노화 개발도 논의 중”이라고 덧붙였다.면역증강제로 시장 진입 노려이 같은 근거로 메디스팬은 MSP-102를 항노화인자 후보물질로 보고 있다. 면역체계를 젊게 만들어 몸 전체의 생체시계의 흐름을 늦추거나 되돌리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사람에게 MSP-102를 투여해 얼마만큼 노화가 더뎌지는지 효능을 입증하기는 어렵다. 통계적 유의성을 입증하기 위해선 대규모 임상이 필수적인 데다, 어느 연령대 사람을 임상에 등록해야 하는지도 판단이 쉽지 않다. 실패에 대한 위험도 너무 크다.그래서 메디스팬은 MSP-102로 노화역전을 보이는 정면승부 대신 노년층·취약계층에서 면역력을 강화시켜줄 수 있음을 보이는 우회전략을 택했다. 백신과 함께 MSP-102를 면역증강제로 투약해 백신만 투약한 대조군 대비 유효성을 보겠다는 전략이다. 면역체계가 젊은 사람 수준으로 ‘회춘’했음을 우선적으로 보이겠다는 것이다.안전성과 함께 유효성을 입증하면 면역증강제로 우선 사업화되거나 기술이전(LO)을 노려볼 수도 있다. MSP-102의 예상 임상 진입시점은 2025년. 투자유치를 통해 ‘실탄’을 확보한 후 독성검사 및 임상용 의약품 생산을 마치고 임상시험계획(IND)을 제출한다는 계획이다.시장 상황 또한 아직까지는 메디스팬에 우호적이다. 앞서 플라젤린을 이용해 신약 개발에 도전한 곳이 있었지만 면역원성 문제로 중단됐다. 면역증강제로 써야할 플라젤린이 면역체계의 표적이 돼 기대한 면역증강 효과 없이 제거돼버린 것이다. 메디스팬의 후보물질 MSP-102는 사람이 먹는 유산균에서 유래한 플라젤린을 기반으로 만들었다. 조 대표는 “항원성을 갖는 D2, D3 도메인이 없는 플라젤린을 찾다 유산균에서 조건이 맞는 플라젤린을 찾았다”고 했다.메디스팬은 전남대 의대 교수로 10년 이상 노화를 연구한 조 대표가 설립한 신약 벤처기업이다. MSP-102 외에도 같은 물질의 반감기를 늘린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 후보물질 ‘MSP-306’을 보유했다. MSP-306 또한 높은 우선순위로 개발 중이었으나, MSP-102가 NIAID의 관심을 받으면서 순위가 바뀌었다. 현재까지 80억 원을 투자받았다. 임상 진입을 목표로 내년 시리즈B 투자 유치를 준비하고 있다.▒ 전문가 평가“노화역전뿐 아니라 면역증강제로도 매력적인 파이프라인”by 장은현 스타셋인베스트먼트 대표플라젤린이라는 차별화된 면역조절물질로 노화 역전과 면역증강제를 동시에 개발하는 기업이다. 특히 면역증강제는 다양한 백신과 조합돼 널리 사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임상 진입을 위한 준비가 잘 갖춰지고 있어 임상 개시 및 임상 중간결과 등이 회사가 도약하는 데 큰 발판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글=이우상 기자 / 사진=임대철 기자**이 기사는 바이오 전문 월간 매거진 <한경 BIO Insight> 2023년 12월호에 실렸습니다.2024-01-25
-
메디스팬, 항노화 연구 논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게재
메디스팬은 '점막면역 TLR5 활성화를 통한 건강수명 조절' 연구 논문이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됐다고 16일 밝혔다.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는 피인용지수(IF)가 16.6으로 생명과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를 가진 국제 학술지다. 메디스팬 연구팀은 인간 나이 60세 이상의 노령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톨유사수용체5(TLR5)를 자극하는 '플라젤린'의 면역 자극이 수명 연장과 다양한 노화 관련 질병 치료에 효과적임을 확인했다. TLR5는 면역 활성화 물질로, 세균 편모의 단위 단백질 플라젤린에 의해 활성화된다. 메디스팬은 TLR5의 점막 면역 활성을 통해 다양한 면역 반응이 유도돼 조직내 축적된 염증이 억제되고, 조직 재생을 유도함으로써 다양한 항노화 효과를 유도할 수 있음을 파악했다. 이는 탈모, 백내장, 골다공증, 흉선 기능 퇴화 등 다양한 노화 증상의 개선 효과와 함께 폐 섬유화증을 비롯한 호흡기 질환에서도 유의미한 효과를 유도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다. 이번 연구에는 미국 바이오 기업 알토스랩의 마누엘 세라노 박사와 이철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사, 이준행 전남대 의대 교수 등 국내외 연구진이 다수 참여했다. 또한 이번 연구의 모든 기술은 현재 메디스팬으로 이전됐다. 메디스팬은 해당 기술들을 항노화 치료제 개발 등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기사전문링크 : 메디스팬, 항노화 연구 논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게재 (medipana.com)2024-01-22
-
메디스팬, 계절성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국책과제 선정
메디스팬이 2023년도 제2차 글로벌백신기술선도사업단의 백신 기반 기술 개발 분야 과제에 최종 선정됐다고 22일 밝혔다. 선정 과제는 ‘플라젤린 기반 면역증강제 MSP-102를 포함한 계절성 인플루엔자 백신의 개발’이다. 메디스팬은 2020년 설립된 항노화 전문 바이오 벤처다. 다양한 노인성 질환과 노화에 대해 효과적인 약물을 개발한다. 지난해 9월 신약후보물질 MSP-306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과제에 선정됐다. 같은 해 11월에는 기술의 우수성과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아 중소벤처기업부의 아기유니콘200 육성사업에 선정됐다. 이번 과제 선정으로 메디스팬은 TLR5 수용체를 타깃하는 MSP-102를 면역증강제로 개발하고, 면역 취약 계층에게도 안전하고 면역 유도가 가능한 계절성 인플루엔자 백신을 개발해 임상 1상을 신청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1년 7개월 동안 총 21.1억원의 연구개발비 중 15.8억원을 정부로부터 지원받아 비임상 과제를 수행한다. 기사전문링크: 메디스팬, 계절성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국책과제 선정 (dailian.co.kr)2023-07-07
-
메디스팬, '아기유니콘200 육성사업' 기업 선정
항노화 전문 바이오 기업 ㈜메디스팬(대표 조경아)은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의 '아기유니콘200 육성사업'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8일 밝혔다. 중소벤처기업부의 아기유니콘200 육성사업은 혁신적인 사업모델과 성장성을 검증받은 유망 기업을 발굴해 기업 가치 1조원 이상의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특히 금번 아기유니콘 선정 기업 모두 기술사업성 평가에서 A 이상의 등급을 받았으며 기술의 우수성과 성장 잠재력을 확인했다. 메디스팬은 ‘노인성 질환 신약개발’을 목표로 2020년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노화와 질환을 동시에 타겟하여 조절함으로써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임상시험에서 약물의 효능을 유도하고, 동반되는 부작용은 최소화하며, 더 나아가 다각적 항노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혁신형 의약품을 개발하겠다는 목표이다. 이를 위해 노화와 다양한 노인성 질환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면역유도체인 TLR5(Toll-like Receptor 5)를 발견해 관련 신약후보 물질들을 개발하고 있다. MSP-102는 골다공증, 근감소증, 백내장, 탈모 등 항노화 약물과 백신 보조제로 개발중이다. 고령인 환자들의 투약 편의를 위해 비강투여 방식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다양한 동물 모델에서 다각적 기능개선 효과 및 수명연장 효과(수컷 마우스 8%, 암컷 마우스 13%)도 확인한 바 있다.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신약개발 과제로 선정되어 개발중인 MSP-306은 TLR5 활성화를 통한 지방간 억제, 간섬유화 억제, 대시지표 개선 등의 효과를 확인한 선행 연구결과를 통해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을 우선 적응증으로 개발하고 있다. 매디스팬은 이들 후보물질을 개발해 혁신신약(First-in-Class)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메디스팬 조경아 대표는 “아기유니콘 선정을 통해 메디스팬의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다시 한번 인정받은 결과“라며 “최근 노화가 치료할 수 있는 질병으로 분류되고 되면서 새로운 약물개발 시장이 열리고 있다. 노화와 질환을 동시에 조절하는 신약후보물질을 성공적으로 개발해, 한국을 넘어서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는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금번 아기유니콘 선정은 역대 최대인 8.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선정된 기업들은 신시장 개척자금 최대 3억원을 비롯해 특별보증과 정책자금 지원 등의 혜택을 받으며, 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유니콘 기업으로의 성장을 지원받게 된다. 기사전문링크 : 메디스팬, '아기유니콘200 육성사업' 기업 선정 (ebn.co.kr)2022-11-08
-
중장비 플랫폼부터 폐배터리까지...신규 아기유니콘 41곳 어디?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유망 스타트업이 예비유니콘(기업가치 1000억원 이상 비상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아기유니콘200 육성사업' 대상 기업을 41개 추가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아기유니콘200 육성사업 지원 대상은 연구개발(R&D) 완료를 앞둔 경쟁력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보유해 향후 빠르게 성장이 기대되는 기업이다. 지원 대상 선정에는 전문심사단과 5:1의 경쟁을 통해 선정된 국민심사단이 참여했다. 선정 기업은 신시장 개척자금(최대 3억원), 특별보증(최대 50억원), 정책자금(최대 100억원) 등 총 12가지 후속 연계사업을 지원 받는다.2021년까지 아기유니콘(기업가치 1000억원 미만 비상장사)으로 선정돼 지원을 받은 100개사는 선정 이후 평균 고용은 2855명에서 5465명으로 약 2배, 평균 매출도 1338억원에서 3339억원으로 2.5배 급성장했다.아기유니콘의 급성장을 반영하듯 올해 하반기 공모 경쟁률은 역대 최대인 8.4 대 1까지 올랐다. 올해 상반기 4.7 대 1, 지난해 2.6 대 1보다 크게 높아졌다.이번 선정기업 41개사의 평균 업력은 4.2년, 매출액은 30억3000만원이다. 업종별로는 ICT 기반 플랫폼 18개사, 바이오헬스 분야 15개사 등으로 구성됐다.선정기업들은 기술보증기금의 기술사업성 평가에서 모두 A 이상의 등급을 받았으며, 최고등급인 AAA를 받은 기업도 11개사로 확인됐다.이번에 선정된 기업 중 알씨이는 중장비 수요자와 공급자를 직접 연결하는 온라인 플랫폼 운영 기업이다. 연 7% 성장 중인 베트남 중고 중장비 시장이 주요 공략 시장으로 베트남 진출 2년 만에 연간 45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파이온코퍼레이션'은 알릴 상품의 사진, 영상, 회사URL 등 자료만 제공하면 마케팅 영상 제작을 가능케 하는 소프트웨어를 판매하는 기업이다. 이 프로그램 덕분에 두바이 소재 작은 한인마트가 월 500개의 마케팅 영상을 제작할 수 있게 됐다.포엔은 현대자동차 사내벤처로 시작한 전기차 폐배터리 재제조기업으로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를 활용해 재제조, 재사용, 잔존가치 평가 등을 한다. 재제조 과정에서 확보한 배터리 잔존가치 평가 알고리즘은 보험, 중고차 판매에 활용하고 있다한편 이영 장관은 "내년부터 아기유니콘 기업들이 협소한 국내시장에 안주해 소상공인과 경쟁하는 상황을 넘어 해외 시장에서 세계 유수기업들과 경쟁할 수 있도록 글로벌 진출 지원 프로그램들을 집중 보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사전문링크 : 중장비 플랫폼부터 폐배터리까지...신규 아기유니콘 41곳 어디? - 머니투데이 (mt.co.kr)2022-10-31
-
메디스팬 "TLR5 표적 NASH 치료제 연구, 정부과제 선정"
왼쪽부터 정윤직 메디스팬 상무와 묵현상 국가신약개발사업단장. 2년 간 연구비 지원메디스팬은 'TLR5(Toll-like Receptor 5)'를 표적하는 신약후보물질 'MSP-306'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의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과제에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메디스팬은 이번 선정을 통해 2년 간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해 혁신신약(First-in-Class)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TLR5는 세균의 편모(플라젤라)를 구성하는 플라젤린 단백질에 의해 활성화된다. TLR5가 활성화되면 염증은 억제되고, 조직은 재생되면서 면역증강 효과를 나타낸다는 설명이다. 메디스팬은 선행 연구를 통해 TLR5 활성화를 통한 비만억제, 지방간 억제, 대사지표 개선 등의 효과를 확인했다. NASH를 적응증으로 신약후보물질을 도출할 방침이다. NASH는 현재까지 승인된 치료제가 없다. 복합인자에 의한 다단계 발병으로 인해 간의 섬유화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약물은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학계에서는 다중 표적에 작용하는 장-간 축(gut-liver axis)이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고 했다. 장-간 축은 장내미생물(마이크로바이옴)이 분비한 물질이 혈관이나 림프관을 통해 간으로 이동해 간 염증 질환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이다. 여러가지 동물모델에서 TLR5가 NASH와 비만 등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메디스팬은 이러한 연구에 기반해 신개념의 NASH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검증할 예정이다.조경아 메디스팬 대표는 "국가 과제를 통해 TLR5를 표적하는 선도물질을 성공적으로 개발하고, 이를 NASH뿐만 아니라 노화와 질환을 동시에 조절하는 다양한 신약후보물질에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메디스팬은 NASH 치료제로 개발 중인 MSP-306 외에도, 골다공증 근감소증 백내장 탈모 등 항노화 약물로 'MSP-102'를 개발 중이다. MSP-102는 고령 환자들의 투약 편의를 위해 비강투여 방식으로 개발하고 있다. 다양한 동물모델에서 기능개선 효과를 확인하고 수컷 생쥐(마우스)에서 8%, 암컷 마우스에서 13%의 수명연장 효과를 봤다. 기사전문링크 : 메디스팬 TLR5 표적 NASH 치료제 연구 정부과제 선정 | 한경닷컴 (hankyung.com)2022-09-06
-
메디스팬 "질환 아닌 '노화'에 초점 두고 약물 개발"
“메디스팬은 개별 질환이나 물질이 아닌 ‘노화’ 현상에 초점을 두고 신약을 개발합니다.”조경아 메디스팬 대표는 11일 한국경제신문 주최로 열린 ‘2022 대한민국 바이오투자 콘퍼런스(KBIC 2022)’에서 “노화치료제를 개발해 건강 수명을 늘리는 게 목표”라며 이같이 말했다.메디스팬은 전남대 의대 교수인 조경아 대표가 2020년 세운 바이오벤처다. 조 대표는 그간 노화를 제어할 수 있는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왔다. 처음엔 노인성 감염 질환에 효과를 볼 수 있는 백신 면역증강제(아주반트) 개발 연구를 시작했다. 전임상에서 약물을 투약한 쥐의 털에서 윤기가 나고 쥐의 건강이 회복되는 사례가 나오자 노화 치료제 개발에 나섰다. 메디스팬은 면역 활성화 물질인 ‘TLR5 수용체’를 발굴했다. 이 TLR5는 세균의 편모를 구성하는 편모 단백질에 의해 활성화된다. TLR5가 활성화되면 염증이 억제되고 조직이 재생되면서 면역 증강 효과가 나타난다는 설명이다.이 물질을 활용한 주요 파이프라인(후보물질)으로 ‘MSP-102’를 개발 중이다. 비강으로 투여하는 골다공증, 근감소증, 백내장, 탈모 등 항노화 약물로 전임상 중이다. 이미 동물모델에서 다각적 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또 다른 TLR5 표적 파이프라인인 ‘MSP-306’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용 주사제로 개발 중이다.조 대표는 “창업 후 다양한 질환 모델에 대한 치료 효과를 검증하면서 약물의 적응증을 확장하는 데에 초점을 뒀다”며 “노화 관련 질환을 동시 표적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기존 약물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메디스팬은 지난해 65억원 규모 시리즈 A 투자 유치를 마쳤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MSP-101 임상 시료 공급을 위한 위탁개발생산(CDMO) 계약을 체결했다. 기사전문링크 : 메디스팬 질환 아닌 노화에 초점 두고 약물 개발 | 한경닷컴 (hankyung.com)2022-07-13
-
메디스팬, 수명연장 및 노화현상 개선 효과 기술 美 특허 등록
항노화 전문 바이오 기업 메디스팬은 수명연장 및 다각적 항노화 효과를 증명하는 기술에 대한 미국 특허 등록이 확정됐다고 15일 밝혔다.메디스팬은 노화와 다양한 노인성 질환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면역유도체를 발견하고, 이를 활용한 탈모, 백내장, 골다공증 등 다양한 노화현상 개선 효과에 대한 국내 및 미국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효과적인 임상 적용을 위한 다양한 약물을 개발하여 특허들을 출원하고 있으며, 비알콜성지방간염 등의 질환 모델을 타겟으로 치료효과를 검증하고 국내외 특허를 출원하고 있다. 기사전문링크 : https://mdtoday.co.kr/news/view/10655781941614132022-02-15
-
[연합뉴스] 일자리 창출 우수 기업을 위한「착한 일자리 기업 시상식」개최, 메디스팬은 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한국성장금융, 착항 일자리 기업 시상식 개최.(오른쪽 두번째 메디스팬 조경아 대표님.) 은행권일자리펀드 투자 기업 중 130개 기업이 참여하는 등 많은 기업이 참여하였으며 고용 성장률, 청년 및 여성 고용비율, 일과 삶의 균형 등을 평가하여 최종 6개의 기업이 착한 일자리 기업으로 선정 하였다. 그 중 메디스팬은 면역노화를 회복 시키는 치료법을 구축하여 항노화 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 기업으로 고용 성장률, 청년 및 여성 고용비율, 상용 근로자 고용 비율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여주었으며, 출퇴근 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유연 근무제도를 도입하여 높은 평가를 받아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기사전문링크 : [게시판] 한국성장금융, 착한 일자리 기업 시상식 개최 | 연합뉴스 (yna.co.kr)2022-01-27
-
[송년인터뷰] 조경아 (주)메디스팬 대표이사, 신약 벤처 글로벌 플레이어 '메디스팬'
[뉴스리포트=이문중 기자] 바야흐로 신약개발 춘추전국시대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바이오 분야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가열되는 가운데, 수 많은 바이오 벤처들이 신약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이런 분위기는 국내 주요 의과대학 의공학자와 대학병원 교수집단에서도 감지되고 있다. 이들은 저마다 학문·진료 분야의 전문가이기에 상대적으로 창업 성공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 성공 원동력으로 꼽힌다. 그러나 대세로 떠오른 ‘교수창 업’에도 한계점은 명백하다. 연구실 안에 머무르는 소규모 벤처가 대다수이다 보니, 글로벌 바이오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다소 부족하다는 점이 다. 조경아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교수가 창업한 ㈜메디스팬은 상아탑의 틀을 부수고 과감히 판교에 터잡은 글로벌 플레이어 신약 벤처다. ㈜메 디스팬은 지난해 설립 이후 항노화 분야에서 괄목할 성과를 거두며 ‘신약개발 춘추전국시대’의 신흥 강자로 주목받고 있다. 세계 바이오 시장 진출을 목표로 기치 올린 메디스팬㈜메디스팬은 글로벌 제약 시장을 목표로 설립된 기업이다. 조경아 대표이사는 2019년 당시 폐섬유화 치료물질 공동연구그룹으로부터 기술이 전과 공동창업 제안받은 바 있는데, 이를 기점으로 글로벌 벤처 창업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간 의대 의공학 교수와 대학병원 교수의 기술이전은 대체로 국내에 국한돼 왔습니다. 그리고 해외 기술이전 성과를 거둔다 해도, 말 그대로 기 술이전에 불과해 부가가치를 창출과는 거리가 있었습니다. 저는 공동창업 제의를 받으면서 단순 기술이전에 만족하기보다, 제가 직접 연구 성과 를 더 고도화해 의약품으로서 가치를 키우는 편이 우리 바이오 산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메디스팬의 창업은 글로벌 바이오 시장의 급속한 성장이라는 외부적 요인에 세이프 투자자 유치라는 호재를 만나면서 급물살을 타기 시작했다. “2020년 초부터 코로나 팬데믹 사태가 세계 이슈를 점령하면서 자연스럽게 국내에서도 바이오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그 결과, 보다 좋은 환경에서 창업하게 됐죠. 창업 초기에는 벤처 경영 체계의 기초부터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었습니다. 창업 이전에 적극적인 투자자를 만나 함께 창업모델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또 초기 세이프(SAFE, 미래 지분에 대한 계약) 투자자는 지금까지 앵커 투자자(Anchor Investor, 모(母) 리츠 (REITs) 단계에 참여해 자리츠의 자금조달과 투자정책을 총괄하는 투자자) 투자자로서 회사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지요.” 판교에 100평 규모 공간 추가 확보, 자체 연구 프로젝트 추진 역량 강화㈜메디스팬은 누적 투자금액 85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펀딩, 7월 TIPS 선정으로 5억 원 규모의 지원금을 확보하면서 판교에서 입지를 다지는데 성공했다. 그리고 최근 75평 규모의 사무실에 100평 규모의 연구 공간을 추가로 확보, 실험실 셋팅에 주력하고 있다. 진정한 의미의 바이오 연구 개발 기업의 토대를 마련한 것이다. 조 대표이사의 이러한 사세 확장 성과에는 투철한 조직경영 철학이 크게 작용했다. “벤처기업은 시장 동향이나 연구 단계에 따라 조직 형태가 변화하는 유동성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평적이고 자율적인 분위기와 유기적인 협업구조가 필수적이죠. 제가 메디스팬을 만들면서 협업 시스템 구축을 최우선 과제로 생각한 것이 이런 이유입니다. 항시 내부 업무 커뮤니케이 션 툴을 활용한 업무 공유로, 기존 부서가 세분화되거나 통합되는 등 인사 변동이 있더라도 기존 업무에는 아무 영향이 없도록 하고 있습니다.”신물질과 신약 개발은 길고 어려운 과제다. 게다가 개인적인 논문이나 연구과제 수행과 달리, 바이오벤처는 세계 시장에서 숱한 경쟁자들을 마주 하기 마련이다. 조 대표이사가 과감히 상아탑을 벗어나 대한민국 비즈니스의 허브인 판교에 둥지를 튼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일단 창업을 했기에, 메디스팬에게 ‘적당히’는 있을 수 없습니다. 쉼 없이 도전하고 성과를 거둬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에 기여하고 투자자에게 보답하는 것이 저와 메디스팬 임직원의 유일한 목표입니다.” 항노화 및 노화기전 연구 노하우 기반, 노인성 질환 치료제 개발서 두각 ㈜메디스팬은 면역노화를 개선하는 면역활성 유도 초기물질인 MSP 301과 306를 규명, 노화제어의약품과 노인성 질환 치료제 등 바이오의약품 을 개발 바이오텍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들 초기물질은 ▲항노화 ▲골다공증 ▲탈모 ▲백내장 등 비임상 모델에서 노화개선과 대사, 인지기능 개선 등의 효과가 확인됐다. 특히 비강점막 투여가 가능해 기존 경쟁약물 대비 약효와 복용 편의성을 상당 부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SP 301과 306은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기반 물질로서, ‘MSP-306’은 다양한 노인성 염증 질환 치료제 개발의 선도 물질입니다. 비알콜성지방 간염(NASH), 특발성폐섬유화(IPF), 염증성장질환(IBD), 탈모, 알츠하이머(AD), 노화제어 연구의 중심을 이루고 있죠. ‘MSP-306’은 특히 비강 점막 투여가 가능해 기존 경쟁약물 대비 약효와 복용 편의성을 상당 부분 개선할 수 있을 것입니다. ‘MSP-301’는 항암제 개발 선도물질로서 노 인성 암 치료제 개발의 핵심 물질입니다. 또한 개발시간이 좀 더 필요하겠지만 ‘MSP-102’를 통한 건강한 수명연장 약물을 개발하기 위한 시도도 진행 중입니다.” 기존 신약개발은 질환모델에 집중해온 반면, ㈜메디스팬의 파이프라인은 ‘노화’라는 전제 조건에 주목하고 있다. 어느 약물이든 노화로 인한 기 능 저하를 염두에 두지 않는다면, 노인 환자에게서 소기의 효과를 거두지 못할 뿐 아니라 심각한 부작용까지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메디스팬은 항노화 선도물질을 기반으로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진행 중입니다. 우리의 목표는 모든 연령에서 유효성을 유지하면서 독성을 낮추는 안전한 약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초기물질이 수명연장이나 항노화를 목표료 했다면, 이후 우리가 개발할 약물들은 보다 다양한 노인성 질환 의 안전한 치료를 실현할 것입니다.” 시리즈B 펀딩 준비, 2022년 도약 ‘정조준’ ㈜메디스팬은 현재 삼성바이오로직스와 CDMO(Contr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rganization)를 맺고 임상시료생산에 박차를 가하 고 있다. 아울러 내년 시리즈B 투자유치에 만전을 기하는 중이다. “지금까지 시리즈A를 통해 선도물질 최적화와 임상실험 준비라는 1차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습니다. ㈜메디스팬은 내년으로 예정된 준비 시리즈B 펀딩을 성공적으로 진행, 시료를 생산하고 파이프라인을 확장할 계획입니다. 안전한 노인성 질환 신약 개발이라는 최종 목표에 이르기까지 ㈜메디스팬은 계속해서 도전할 것입니다.”기사전문링크 : [송년인터뷰] 조경아 ㈜메디스팬 대표이사, 신약 벤처 글로벌 플레이어 ‘메디스팬’ : 뉴스리포트 (news-report.co.kr)2022-01-17
-
[서울경제 外] 노인성 질환 전문 바이오기업 메디스팬, 시리즈A 65억원 투자유치
메디스팬은 DSC인베스트먼트, 스타셋인베스트먼트, 티그리스인베스트먼트 등으로부터 시리즈A 투자를 성공적으로 유치했다. 전세계 바이오업계가 ‘노화’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이 이번 투자유치의 성공 배경으로 꼽히고 있다. 메디스팬은 이번 투자유치를 바탕으로 노인성 질환을 타겟으로 하는 후보물질 도출과 세포주 구축을 완료하고, 2023년까지 후보물질 개발과 생산에 필요한 절차를 완료할 목표이다.기사전문링크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1&aid=00039095952021-12-17